보건학

  1. 1. 질병의 자연사에 따른 예방대책에서 조기진단과 조기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?

    ① 예방접종에 의한 숙주의 면역증강을 의미한다.
    ② 전염병 관리에는 중요하지 않는다.
    ③ 모자보건에서 산전관리의 중요한 내용이 된다.
    ④ 예방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건강증진단계이다.
    ⑤ 질병의 자연사에 따른 1차 예방수준에 해당된다.
  2. 2. 1차보건의료사업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예방접종사업
    ② 모자보건사업
    ③ 난치병치료사업
    ④ 식수위생관리사업
    ⑤ 일상적인 질병의 치료사업
  3. 3. 자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온열작용
    ② 살균작용
    ③ 피부색소 침착
    ④ 구루병 예방
    ⑤ 발생피부암 유발
  4. 4. 인체의 호기(呼氣)에서 O2와 CO2의 조성(%)은?
    ① 17%, 0.03%
    ② 19%, 0.4%
    ③ 17%, 4.0%
    ④ 10%, 7.0%
    ⑤ 7%, 10%
  5. 5. 상수의 수질검사에서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이 의미하는 것은?

    ① 유기물 종류 추정
    ② 미생물 오염 추정
    ③ 용존산소량 추정
    ④ 유기물량 추정
    ⑤ 경도 추정
  6. 6. 급속사여과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전처리로 보통침전법 이용
    ② 역류세척에 의한 여과막 재생
    ③ 여과속도는 120 m/day 전후
    ④ 여과막 사용일수는 청소 후 12시간∼2일
    ⑤ 동결이 잘 되는 추운지역에 적합
  7. 7. 하수의 수질상태를 나타내는 BOD가 의미하는 것은?

    ① 하수 중 용존 산소량
    ② 수중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산소량
    ③ 하수의 유기물을 산화하는데 소모되는 산소의 양
    ④ 하수에 용존되는 대기 중의 산소손실량
    ⑤ 20℃에서 5일간 하수에 용존되는 산소량
  8. 8. 산업피로의 원인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    ① 수면부족
    ② RMR 2 이하
    ③ 조명의 불량과 조도의 불균형
    ④ 영양상태의 악화
    ⑤ 책임량의 과중
  9. 9. 소금에 절인 해산물을 생식한 후 발생 가능한 식중독은?

    ① 살모넬라 식중독
    ② 장염비브리오 식중독
    ③ 포도상구균 식중독
    ④ 장구균 식중독
    ⑤ 보툴리즘 식중독
  10. 10. 생물학적 전파형태와 전염성질환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증식형 전파- 황열
    ② 발육형 전파-사상충증
    ③ 배설형 전파-발진티프스
    ④ 발육증식형 전파-재귀열
    ⑤ 난소전이형 -록키산홍반열
  11. 11. 위생곤충과 매개하는 전염병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?
    ① 모기 - 사상충증, 일본뇌염
    ② 이 - 발진티푸스, 재귀열
    ③ 진드기 - 쯔쯔가무시증, 록키산홍반열
    ④ 파리 - 황열, 뎅기열
    ⑤ 벼룩 - 페스트, 발진열
  12. 12. 인수공통전염병으로만 연결된 것은?
    ① 결핵, 탄저, 장티푸스, 콜레라
    ② 결핵, 탄저, 파상열, 광견병
    ③ 파상풍, 결핵, 디프테리아, 한센병
    ④ 야토병, 광견병, 파상풍, 콜레라
    ⑤ 폴리오, 파상열, 장티푸스, 탄저
  13. 13. 후천적인 면역방법 중에서 항독소를 환자에게 주입하는 면역법은?
    ① 선천면역
    ② 자연능동면역
    ③ 인공능동면역
    ④ 자연피동면역
    ⑤ 인공피동면역
  14. 14. 검역전염병에 접촉된 사람들의 건강격리 기간은?
    ① 해당 질병의 최대잠복기 동안
    ② 해당질병 유행이 끝날 때 까지
    ③ 접촉자들에게 예방접종이 끝날 때까지
    ④ 임상증상이 나타날 때 까지
    ⑤ 해당 질병의 세대기 동안
  15. 15. 행정의 관리과정상 조직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  ① 조정의 원칙
    ② 목적의 원칙
    ③ 명령통일의 원칙
    ④ 통솔범위의 원칙
    ⑤ 예산분배의 원칙
  16. 16. 의료보험급여를 형태별로 구분할 때 현물급여에 해당하는 것은?
    가. 장제비 나. 본인부담액보상금
    다. 요양비 라. 건강검진


    ① 가, 나, 다
    ② 가, 다
    ③ 나, 라
    ④ 라
    ⑤ 가, 나, 다, 라
  17. 17. 생산연령층의 도시유입으로 청·장년층의 비율이 높은 인구 피라미드는?
    ① 피라미드형
    ② 종형
    ③ 방추형
    ④ 별형
    ⑤ 표주박형
  18. 18. 비타민의 종류에 따른 결핍증이 옳지 않은 것은?
    ① 비타민 A - 야맹증
    ② 비타민 D - 괴혈병
    ③ 비타민 B2 - 구순염
    ④ 비타민 B1 - 각기병
    ⑤ 비타민 B12 - 악성 빈혈
  19. 19. 고령사회는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몇 퍼센트 이상인가?
    ① 7%
    ② 14%
    ③ 20%
    ④ 30%
    ⑤ 40%
  20. 20. 영아사망률을 계산할 때 분자가 되는 것은?
    ① 생후 1주일 이내 사망자 수
    ② 생후 4주일 이내 사망자 수
    ③ 생후 4주 이후 1년 이내 사망자 수
    ④ 생후 6개월 이내 사망자 수
    ⑤ 생후 1년 이내 사망자 수
Author
jsm6012
ID
4625
Card Set
보건학
Description
공중보건 문제
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