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. 공압 케스케이드 회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방향성 리밋 밸브를 사용하므로 신뢰성이 보장된다.
② 복잡한 작동 시퀀스도 배선이 간단하다.
③ 캐스케이드 밸브가 많아지게 되면, 제어에너지의 압력강하가 발생한다.
④ 캐스케이드 밸브가 많아질수록 스위칭 시간이 짧아진다.
③
#2
[2012년 제51회]
24. 절삭공구의 성분 중 합금성분이 W(18%)-C(4%)-V(1%)인 절삭공구는?
① 초경합금강
② 고속도강
③ 주조합금강
④ 세라믹강
②
#3
[2012년 제51회]
44. 표면거칠기를 측정하는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광절단식
② 촉침식
③ 현미간섭식
④ 광택식
④
#4
[2012년 제51회]
49. 다음 중 드릴부시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① 삽입부시
② 고정부시
③ 라이너부시
④ 데프콘부시
④
#5
[2012년 제52회]
21. 강에 합금원소를 첨가할 경우 어닐링 상태에서 합금원소의 강 중 존재 상태가 아닌 것은?
① 금속 간 화합물로 되어 있는 상태
② 금속단체로 되어 있는 상태
③ 시멘타이트 중에 탄화물로 되어 있는 상태
④ 산화물, 염화물 또는 원소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
④
#6
[2012년 제52회]
50. 1900rpm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에서 2회전 드릴을 주려고 할 때 정지시간은?
① 0.05초
② 0.08초
③ 1.2초
④ 1.5초
②
*정확히 계산하면 0.066초이다.
#7
[2013년 제53회]
17. 슈퍼 피니싱에서 숫돌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?
① 가공물 길이의 1/2 정도로 한다.
② 가공물 길이와 같게 한다.
③ 가공물 지름과 같게 한다.
④ 가공물 지름의 1/2 정도로 한다.
②
*숫돌 폭은 가공물 지름의 60~70% 정도로 한다.
#8
[2013년 제53회]
32. W, Ti, Ta 등의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을 Co, Ni을 결합제로 하여 1,400°C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로 소결성형한 절상공구 재료는?
① 서멧
② 초경합금
③ 고속도강
④ 탄소공구강
②
#9
[2013년 제53회]
42. 다음 중 표면거칠기 측정법과 거리가 먼 것은?
① 표준면과의 비교 측정법
②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법
③ 테이블 회전식 표면거칠기 측정법
④ 현미간섭식 표면거칠기 측정법
③
#10
[2013년 제53회]
46. 보통 드릴지그판(Jig Plate)의 두께는 공구지름의 몇 배 정도가 적절한가?
① 공구지름의 1~2배
② 공구지름의 3~4배
③ 공구지름의 5~6배
④ 공구지름의 7~8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