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 작업측정
3) 관찰횟수의 결정
(1) 신뢰도 95%, 소요정도(=허용오차=상대오차)5%인 경우 N=?
(2) 신뢰도 95%, 소요정도(=허용오차=상대오차)10%인 경우 N=?
-
2. 작업측정
4) 정미시간의 산정
1) 수행도평정 절차
a. 기준이 되는 정상적인 _____ 및 속도를 익힌다.
b. 관측 중 평정(_____)을 실시한다.
c. 평정계수를 구한다.
평정계수(R)=(____작업속도/ ___작업속도) x 100%
d. 정미시간을 구한다.
정미시간(NT)=____(__) x ____(__)/100
- a. 기준이 되는 정상적인 작업절차 및 속도를 익힌다.
- b. 관측 중 평정(Rating)을 실시한다.
- c. 평정계수를 구한다.
- 평정계수(R)=(실제작업속도/ 정상작업속도) x 100%
- d. 정미시간을 구한다.
- 정미시간(NT)=관측시간(T0) x 평정계수(R)/100
-
3. 작업측정
5) 여유시간(Allowance Time)의 산정
(1) 종류
a. ____여유(물적여유)시간: 작업의 일부이지만 불규칙적이므로 정규작업시간으로 볼 수 없는 지연시간
b. ____여유시간: 작업 중 용변, 물 마시기, 땀 씻기 등에 걸리는 시간
c. ____여유시간: 작업으로 인한 피로회복에 소요되는 작업지연시간
d. ____여유시간: 작업 상 또는 관리 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지연시간
- a. 작업여유(물적여유)시간: 작업의 일부이지만 불규칙적이므로 정규작업시간으로 볼 수 없는 지연시간
- b. 생리여유시간: 작업 중 용변, 물 마시기, 땀 씻기 등에 걸리는 시간
- c. 피로여유시간: 작업으로 인한 피로회복에 소요되는 작업지연시간
- d. 직장여유시간: 작업 상 또는 관리 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지연시간
-
4. 작업측정
5) 여유시간(Allowance Time)의 산정
(2) 여유율(Allowance in percent: A)
a. 외경법에 의한 경우: A=?
b. 내경법에 의한 경우: A=?
(여유시간/정미시간) x100%
- (여유시간/실동시간) x100%
- ={여유시간/(정미시간+여유시간)} x100%
-
5. 작업측정
6) 표준시간(Standard Time, ST) 산정
(1) 외경법에 의한 표준시간: 표준시간=?
(2) 내경법에 의한 표준시간: 표준시간=?
정미시간x(1+여유율)
정미시간x1/(1-여유율)
-
6. 워크샘플링에 의한 측정
1) 개념: 최소한의 샘플을 ___하게 ___적으로 관측하여 작업자나 기계의 가동여부와 같은 상황을 실용상 만족할만한 ______과 ______로 추정하는 기법. ___형 데이터에 대한 연구이며 순간관측법이라고도 부름.
1) 개념: 최소한의 샘플을 랜덤하게 순간적으로 관측하여 작업자나 기계의 가동여부와 같은 상황을 실용상 만족할만한 신뢰수준과 정확도로 추정하는 기법. 계수형 데이터에 대한 연구이며 순간관측법이라고도 부름.
-
7. 워크샘플링에 의한 측정
2) 특징
(1) 실시절차가 _____하여 시간연구법에서와 같이 고도의 훈련이 필요없다.
(2) 시간연구법보다 비용이 _____하다.
(3) 스톱워치와 같은 측정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_____적 압박을 주지 않는다.
(4) 관측대상자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일이 적으므로 _____의 신뢰도가 높다.
(5) 순간적으로 관측하므로 관측결과의 _____가 시간연구법에서보다 클 수 있다.
(6) 한 사람이 다수의 작업자나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관측할 수 있다.
(7) 작업을 요소별로 분할할 수 없기 때문에 _____ 연구가 어렵다.
(8) 관측대상자가 작업장을 떠났을 때 그 행동을 알 수 없다.
(9) 관측시간이 주기와 같거나 _____인 경우 적용할 수 없다.
- (1) 실시절차가 간단하여 시간연구법에서와 같이 고도의 훈련이 필요없다.
- (2) 시간연구법보다 비용이 저렴하다.
- (3) 스톱워치와 같은 측정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주지 않는다.
- (4) 관측대상자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일이 적으므로 결과의 신뢰도가 높다.
- (5) 순간적으로 관측하므로 관측결과의 오차가 시간연구법에서보다 클 수 있다.
- (6) 한 사람이 다수의 작업자나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관측할 수 있다.
- (7) 작업을 요소별로 분할할 수 없기 때문에 깊은 연구가 어렵다.
- (8) 관측대상자가 작업장을 떠났을 때 그 행동을 알 수 없다.
- (9) 관측시간이 주기와 같거나 정수배인 경우 적용할 수 없다.
-
8. 워크샘플링에 의한 측정
2) 관축수의 결정
(1) 발생률 p = (그 항목의 관측횟수/총 관측횟수) x100%
(2) 절대오차 sp = ___________
(3) 상대오차 s = 절대오차/p
(4) 관측횟수 n =___________
- (1) 발생률 p = (그 항목의 관측횟수/총 관측횟수) x100%
- (2) 절대오차 sp = Z1-α/2√ (pq/n)
- (3) 상대오차 s = 절대오차/p
- (4) 관측횟수 n =4p(1-p)/(sp)2
-
9. 표준자료에 의한 측정
1) 표준자료법(Standard Data System): 과거의 시간연구법 또는 PTS에 의해 얻어진 표준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유지, 운영되고 있는 경우 이런 표준자료에 _____을 적용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. 즉, 각 요소동작의 정미시간을 합하여 그 작업의 정미시간을 구할 수 있으므로 _____이라고도 부른다.
표준자료법(Standard Data System): 과거의 시간연구법 또는 PTS에 의해 얻어진 표준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유지, 운영되고 있는 경우 이런 표준자료에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. 즉, 각 요소동작의 정미시간을 합하여 그 작업의 정미시간을 구할 수 있으므로 합성법이라고도 부른다.
-
10. 표준자료에 의한 측정
2) 장점
(1) 제조원가의 ______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지 않더라도 표준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.
(2) ______이 불필요하다.
3) 단점: ______이 다른 경우 표준시간의 정도가 떨어진다.
- 1) 제조원가의 사전견적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지 않더라도 표준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.
- (2) Rating이 불필요하다.
3) 단점: 작업환경이 다른 경우 표준시간의 정도가 떨어진다.
-
11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1) 개념: 어떤 작업 또는 직무를 ______으로 분해한 다음 각 기본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성질, 조건에 따라 표에서 찾아 이들을 합산하여 ______을 구하고 이에 여유율을 적용하여 ______을 구하는 방법
어떤 작업 또는 직무를 기본동작으로 분해한 다음 각 기본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성질, 조건에 따라 표에서 찾아 이들을 합산하여 정미상시간을 구하고 이에 여유율을 적용하여 표준시간을 구하는 방법
-
12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2) 특징
(1) 장점
a. 작업자의 능력이나 노력과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. 따라서 ____이 필요 없다.
b. ________이 변경되어도 표준시간의 개정이 신속, 용이하다.
- (1) 장점
- a. 작업자의 능력이나 노력과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. 따라서 평정이 필요 없다.
- b. 작업방법이 변경되어도 표준시간의 개정이 신속, 용이하다.
-
13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2) 특징
(2) 단점
a. 거의 _____에 적용된다.
b. 도입초기에는 _____의 자문이 필요하고 교육 및 훈련비용이 많이 든다.
- (1) 단점
- a. 거의 수작업에 적용된다.
- b. 도입초기에는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하고 교육 및 훈련비용이 많이 든다.
-
14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2) 특징
(3) 부연설명: 각 기본동작의 소요시간은 몇 가지 ______에 의해 결정됨. 즉 누가, 언제, 어디서 동작을 행해도 변동요인만 같으면 그 소요시간은 이미 정해진 ______와 동일.
각 기본동작의 소요시간은 몇 가지 시간변동요인에 의해 결정됨. 즉 누가, 언제, 어디서 동작을 행해도 변동요인만 같으면 그 소요시간은 이미 정해진 기준치와 동일.
-
15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3) MTM(Method Time Measurement)법
(1) 개념: 인간의 작업을 여러 기본동작으로 우선 구분하고, 각 기본동작의 경우에도 ____과 ____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자료표에 따라 시간치를 구한다. 자료표의 시간치를 합하여 정미시간을 구한다.
(2) 1 TMU(Time Measurement Unit) = 0.00001 시간 = 0.0006 분 = ____초
(3) 적용범위: ____ 생산시스템과 ____의 작업형 및 초단사이클의 작업형
- 1) 개념: 인간의 작업을 여러 기본동작으로 우선 구분하고, 각 기본동작의 경우에도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자료표에 따라 시간치를 구한다. 자료표의 시간치를 합하여 정미시간을 구한다.
- (2) 1 TMU(Time Measurement Unit) = 0.00001 시간 = 0.0006 분 = 0.036초
- (3) 적용범위: 대규모 생산시스템과 단사이클의 작업형 및 초단사이클의 작업형
-
16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4) WF(Work Factor)법
(1) 1 WFU(Work Factor Unit) = _____ 분
(2) 특징
a. _____를 사용하지 않는다.
b. 작업속도는 장려 속도의 _____%를 기준으로 한다.
- (1) 1 WFU(Work Factor Unit) = 0.0001 분
- (2) 특징
- a. 스톱워치를 사용하지 않는다.
- b. 작업속도는 장려 속도의 125%를 기준으로 한다.
-
17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4) WF(Work Factor)법
(3) 구성
a. 기초동작
(a) 사용하는 _____
(b) _____
b. 워크팩터
(a) _____ 또는 저항
(b) 동작의 곤란성: _____, _____, _____, _____
- a. 기초동작
- (a) 사용하는 신체부위
- (b) 이동거리
- b. 워크팩터
- (a) 중량 또는 저항
- (b) 동작의 곤란성: 방향조절(S), 주의(P), 방향변경(U), 일정한 정지(D)
*주소변경;PUSD;부산으로 우리들이 이사갔다
-
18. PTS법(Predetermined Time Standard System)
4) WF(Work Factor)법
(4) 표준시간 설정순서
a. 작업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_____한다.
b. 작업을 구분하여 _____으로 나눈다.
c. 요소동작을 _____로 구분한다.
- a. 작업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기록한다.
- b. 작업을 구분하여 요소동작으로 나눈다.
- c. 요소동작을 표준요소로 구분한다.
-
19. 학습곡선
1) 개념: _____의 반복 내지 _____의 증가에 따라 학습률에 따른 공수체감현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공수체검곡선 또는 학습공선이라고 한다.
2) 활용
(1) _____
(2) 작업로트 크기에 따라 _____ 조정
(3) 제품이나 부품의 적정_____ 결정
1) 개념: 작업의 반복 내지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학습률에 따른 공수체감현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공수체감곡선 또는 학습곡선이라고 한다.
- 2) 활용
- (1) 성과급
- (2) 작업로트 크기에 따라 표준공수 조정
- (3) 제품이나 부품의 적정구입가격 결정
-
20. 학습곡선
3) 계산
A: 최초의 제조시간
X: 누적 생산량
(1) 학습률(경사율) PI = _____
(2) 공수 Y = _____
- (1) 학습률(경사율) PI = 2B
- (2) 공수 Y =AXB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