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 중풍으로 의식을 잃었는데 입을 꽉다물었다 (아관긴폐)면?
D.
-
2.상복부의 불쾌감이 배변후 악화되고 식후에 완화되며, 식욕이 없고, 따뜻한 음식을 선호하고, 맑은 물을 토하고, 변당과 사지냉의 증상의 진단은?
B.
-
3.팔강에서 표증에 해당하는 것은?
B.
-
4.두창통, 구고, 목적, 현맥의 진단은?
A.
-
5.오행학설에서 금에 해당하는 것은?
A.
-
6.다음중 오행의 상극을 음양이론으로 설명하면?
A.
-
7.한 환자가 오한발열, 무한, 두항강통, 전신통, 번조, 구갈이 있다면 진단은?
D.
-
8.다음중 구고에 해당하는 것은?
D.
-
9.다음중 팔강변증으로 양허에 해당하는 것은?
C.
-
10.다음중 선발숙강을 주관하는 장부는?
D.
-
11.한 환자가 사지냉, 흉부와 복부에 작열감, 불오한, 오열, 침유력맥이다. 변증은?
B.
-
12.다음중 표허한증의 증상이 아닌것은?
B.
-
13.흉통해수, 담중대혈, 도한, 설홍소태, 맥세삭의 진단은?
A.
-
14.열증과 한증은 주로 음양의 실조에 기인한다. 음의 부족이 만드는 것은?
B.
-
15.설태가 회태인 환자는?
B.
-
16.사지와 구간의 기혈순환, 한온과 운동과 관련이 있는 기는?
D.
-
17.조사에 의해 쉽게 영향받는 계절은?
C.
-
18.다음중 혈어의 일반적인 증상은?
D.
-
19.다음중 폐경의 병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D.
-
20.설의 열문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21.다음중 빈뇨, 소변실금의 병인중 가장 옳은 것은?
C.
-
22.한 남성 환자가 감모로 내원하였다. 주 증상은 오한 발열, 신통, 약간의 한출이다. 육경변증으로 진단하면?
D.
-
23.팔강변증으로 풍열표증에 해당하는 것은?
D.
-
24.57세 여성이 2년간 요슬산연증상이 있음. 또한 현훈, 이명, 목현, 건망, 도한, 구갈, 야간에 구건, 변비, 소변단적, 오심열, 설홍소태, 세삭맥이다. 진단은?
A.
-
25.다음중 기항지부에 속하지 않는 것은?
C.
-
26.양명경증의 주요증상은?
D.
-
27.다음중 한증에 속하지 않는 것은?
C.
-
28.다음중 정상맥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?
D.
-
29.다음중 기함의 특성이 아닌것은?
A.
-
30.다음중 활맥이 나타내는 것이 아닌것은?
C.
-
31.복부의 징적이 고정되고 매우 단단하게 느껴지는 것은?
C.
-
32.창통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인다면?
C.
-
33.노인이나 산후의 변비는 주로 무엇으로 기인하는가?
A.
-
34.변비와 설사가 교대한다면?
A.
-
35.습열조열의 특징은?
B.
-
36.망진에서 안색과 시각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37.흡기시의 천식소리가 나타내는 것은?
A.
-
38.활맥, 설담, 복창만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39.기허와 관련있는 장부는?
A.
-
40.주로 비만은 무엇으로 기인하는가?
C.
-
41.다음중 오행의 상극을 이용하는 처법은?
C.
-
42.오행에서 목에 해당하는 것은?
A.
-
43.다음중 통조수도를 하는 장부는?
B.
-
44.다음중 수액을 주관하는 장부는?
A.
-
45.다음중 청탁을 분별하는 장부는?
A.
-
46.말기 허약한 환자가 갑자기 정신이 들고 이야기를 하고 음식을 요구하고 빰에 홍조를 띠고 눈이 밝아진다면?
A.
-
47.오행에서 화가 실하여 일어나는 것는?
A.
-
48.비색류에, 맑은 물같은 담이 있는 해수, 재채기, 오한의 변증은?
D.
-
49.다음중 위기의 정상적인 방향은?
B.
-
50.다음중 간양상항의 증상에 속하는 것은?
D.
-
51.다음중 혈맥을 주관하는 장부는?
D.
-
52.다음중 통혈을 주관하는 장부는?
D.
-
53.다음중 혈의 저장을 주관하는 장부는?
A.
-
54.한 환자가 식욕없음, 피곤, 변당, 설담, 맥약이다면 진단은?
A.
-
55.비신양허의 주증상은?
C.
-
56.음허의 주요증상은?
C.
-
57.다음중 습과 관련있는 증상은?
D.
-
58.다음중 혈허의 증상에 해당하는 것은?
A.
-
59.다음중 심화항성과 관련있는 증상은?
D.
-
60.혈어의 특징은?
A.
-
61.비기하함의 특점은?
C.
-
62.다음중 심과 관련있는 증상은?
B.
-
63.다음중 비와 관련이 있는 증상은?
B.
-
64.다음중 폐와 관련있는 증상은?
C.
-
65.오행 이론으로 폐실증에 사용하는 수혈은?
C.
-
66.수곡운화는 어느 장부의 주요기능인가?
A.
-
67.다음중 소장으로부터 탁한 진액을 받아 소변으로 기화하는 장부는?
C.
-
68.한 환자가 자한이 있고 감기에 자주 걸린다면 무슨 기를 보해야 하나?
C.
-
69.육음사기중 습의 성질은?
C.
-
70.어둡고 혈괴가 있는 통경, 설자, 자색반점, 현맥의 변증은?
A.
-
71.기단, 성저, 면색광백, 설담, 맥허약의 변증은?
A.
-
72.식욕없음, 피곤, 변당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것은?
D.
-
73.요통무력, 야뇨빈청, 뇨실금의 변증은?
D.
-
74.발열오한, 항강, 신통, 한출, 부맥의 변증은?
C.
-
75.발열, 오한, 약간의 한출, 비류황체, 약간의 구갈, 인후통, 설변과 첨이 홍, 부삭맥의 변증은?
A.
-
76.오한, 오후에 악화되는 약간의 발열, 두중신중, 흉복창만, 오심, 구토, 니태, 유맥의 진단은?
A.
-
77.상복작통, 구갈욕냉음, 구취, 설홍후황태, 삭맥의 진단은?
D.
-
78.면색이 어두운 회색이라면?
B.
-
79.안각이 홍색이라면?
C.
-
80.외감사기의 침입으로 인한 한열왕래는?
D.
-
81.대한임리, 무기력, 허약, 사지냉, 침세맥의 진단은?
B.
-
82.한 여성환자가 잠들기가 힘들지만 잠들고 나서는 잘잔다면?
C.
-
83.당므중 활맥이 나타내는 것과 거리가 먼것은?
B.
-
84.겨울철의 맥상은?
A.
-
85.혈액의 생성과 관련있는 것은?
B.
-
86.위를 진액의 원천이라고 하는 이유는?
C.
-
87.55세 여성이 소화불량, 오심, 담즙을 구토, 협통, 구고를 호소한다. 그녀의 맥은 현하다. 설태는 두껍다면 관련된 장부는?
B.
-
88.슬픔으로 쉽게 상하는 기는?
C.
-
89.다음중 혈어의 증상은?
D.
-
90.오행에서 수불함목의 증상은?
D.
-
91.음양이론에서 모든 현상은 음양으로 무한이 나뉠 수 있다는 관점에서 “오후”에 해당하는 것은?
C.
-
92.표증에서 한과 열을 변증하는데 있어서 주요특점과 거리가 먼것은?
D.
-
93.기역과 가장 밀접한 장부는?
C.
-
94.기경팔맥의 주요 기능은?
B.
-
95.두중신중, 동작이 느림, 설태니의 진단은?
B.
-
96.한 여성이 기단, 성저, 나언, 자한이 있다면 진단은?
C.
-
97.육음사기에 해당하는 것은?
C.
-
98.22세 여성이 창백한 안색, 피곤, 기단, 협늑에 고정통이 있다면 진단은?
C.
-
99.한 젊은 남자가 고열, 경련, 경항강직, 각궁반장, 양목상시일때 진단은?
C.
-
100.한 환자가 구월 하순에 내원당시 건해소담, 비건, 구인건, 건조한 피부와 모발, 쉰목소리의 증상이 있다면 진단은?
C.
-
101.비기허 환자가 식후에 완복에 창만을 느끼는 이유는?
B.
-
102.심혈어조환자의 맥이 결맥이다. 이 맥의 특징은?
A.
-
103.26세 여성환자. 현훈, 허약하다. 갑자기 일어서면 현기증을 느낀다. 피곤하면 시력이 침침하다. 두달동안 월경이 없다. 그녀의 맥은 세삽하다. 예상되는 설은?
D.
-
104.68세 남성, 빈뇨, 여력부진, 소변청장을 호소. 또한 요통, 가끔씩 유정이 잇다. 설은 담백하고 맥은 척부위가 침약하다. 진단은?
C.
-
105.육류와 술을 좋아하는 한 환자가 태변건결, 항문작열, 구설건조 및 작열감이 있다. 설은 후황건태인데 중앙과 근부위가 흑태이다. 치료원칙은?
A.
-
106.한 환자가 어제 감기에 걸렸는데 오늘은 약간의 발열, 오풍, 오한, 가벼운 신통, 약간의 한출이 잇다. 그의 맥은 부와하다면 변증은?
D.
-
107.소심, 우유부단, 결단력부족, 긴장, 쉽게 놀란다면?
D.
-
108.설담, 위연설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109.면색위황이 나타내는것은?
B.
-
110.치아가 빠지고 잇몸이 붓는다면?
A.
-
111.공막이 황색이면?
A.
-
112.산후발열, 한출, 설담, 세맥의 진단은?
B.
-
113.한 환자가 무릎이하의 부종, 변당, 요슬산통, 사지냉 일때 진단은?
B.
-
114.습, 담의 맥으로 거리가 먼것은?
A.
-
115.둔한 두통이 과로후에 더 악화된다면?
C.
-
116.당므중 유신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것은?
A.
-
117.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안색에서 가을에 해당하는 것은?
A.
-
118.눈의 부위와 장부와의 관계에서 동공 (눈동자)에 해당하는 장부는?
D.
-
119.부종, 피로, 기단, 안색창백, 외한, 누으려고만 한다면?
B.
-
120.설태황니가 나타내는 것은?
D.
-
121.다음중 간양상항으로 인한 두통의 특징은?
A.
-
122.구내 산미가 나타내는 것은?
C.
-
123.다음중 신정허의 임상증후에 속하지 않는 것은?
D.
-
124.대장습열로 인한 설사의 특징은?
D.
-
125.다음중 불면의 병인병기로 거리가 먼것은?
D.
-
126.이명이 일정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발병하며, 현훈, 요슬산연이 동반할 때 진단은?
C.
-
127.촉맥, 결맥, 대맥의 공통 특점은?
C.
-
128.현세맥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129.심한오한, 박백윤태, 부긴맥의 변증은?
A.
-
130.기허로 인한 출혈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?
C.
-
131.소장실열의 주요 병인은?
B.
-
132.다음중 비위습열, 간담습열, 대장습열, 방광습열에서 볼 수 있는 공통증상은?
A.
-
133.다음중 새벽에 하는 설사의 병인은?
D.
-
134.영분증의 설색은?
D.
-
135.위실열 증상에 해당하는 것은?
A.
-
136.강경설이 나타내는 것은?
A.
-
137.다음중 표증과 리증을 구별하는 주요 임상 증상은?
C.
|
|